Skip to content

Dev, Hack & Debug

Geeky articles and documents like Data Leakages, Cyber Espionage, Security Breaches and Exploits

  • Front page
  • Development
  • Hacking
  • Debugging
  • Contact

[태그:] Lazarus

Security Newsletters, 2018 Feb 14th, 윈도우 텔레그램 클라이언트 0-day 外

Posted on 2018-02-14 by admin

Caution

This post is a meta-newsletters that contains links and texts that have been collected approximately for a day from various sources. The titles of news were not provided from original sources, but translated by the writer of this post. So, there could be mis-translation or duplication. I respect the copyright of every articles and their policies. so I am trying to keep it. (of course, and mainly, it’s too much to translate by myself). Accordingly, this post doesn’t have quotation nor the body of article, if any, contact me and it will be removed.

  • 아래 뉴스 기사 링크들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약 1일간 수집된 IT보안 관련 뉴스입니다.
  • 뉴스 기사의 분류는 정리 과정에서 임의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한글 제목역시 원 게시자가 아닌 정보 취합 및 분류 과정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 번역된 한글 제목에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여러 매체에서 동일 사건을 다루면서 중복된 내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분량 및 저작권 관계로 본문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본문 전체를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 보다 정확한 내용은 상세 뉴스목록에 포함된 원본기사 링크를 참고하시고, 최소 둘 이상의 기사를 교차확인 하세요.

 

 

Newsletters

Cyber Espionage/Cyber Operations/Cyber Threats/Threat Actors

Summaries

  • 라자러스 해킹그룹이 비트코인을 훔치기 위한 공격적인 피싱 캠페인을 시작했다. 맥아피(McAfee)의 Advanced Threat Research(ATR) 분석가들이 탐지한 바에 따르면, HaoBao라 명명된 이 캠페인은 라자러스 그룹이 이전에 미 방위산업체(US defense contractors) 직원들이나 에너지 및 암호화폐 교환소를 포함한 금융분야의 직원들을 노린 피싱 이메일 캠페인을 다시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목표가 공격대상 환경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고 주요 군사 프로그램 정보를 얻거나 돈을 훔치기 위한 것이었다면, 이번 공격의 피싱 이메일에서는 비트코인 사용자들과 국제 금융 기관들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다. (13일에서 이어짐)
  • 평창 동계 올림픽의 개회식동안 웹사이트가 다운되는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고, 그 공격에 대한 기사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12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Lazarus Group
    • [DarkReading]
      Lazarus Group Attacks Banks, Bitcoin Users in New Campaign
    • [ZDNet]
      Lazarus hacking group rises again with new bitcoin-stealing cyberattacks against banks
  • 평창 동계 올림픽
    • [Anomali]
      WTB: Olympic Destroyer Takes Aim At Winter Olympics
    • [InformationSecurityBuzz]
      Winter Olympics Opening Ceremony Was Hacked
    • [SecurityAffairs]
      Pyeongchang – Olympic Destroyer Unleashed to Embarrass Pyeongchang 2018 Games
    • [TheHackerNews]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s Opening Ceremony Disrupted by Malware Attack
    • [CyberScoop]
      Winter Olympics cyberattacks meant to ‘send a message’

 

Malwares

Summaries

  •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인 AndroRAT의 변종이 확인되었다. 이 악성코드는 2012년에 처음 한 대학교의 프로젝트로 만들어졌다. 오픈소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응용프로그램으로 장치에 대한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해커들이 이 프로젝트를 악용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버젼의 악성코드는 CVE-2015-1805 취약점을 공격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로컬 권한상승 취약점으로 안드로이드 OS의 커널에 영향을 미친다. 커널 3.4, 3.4.10, 3.14 버젼기반의 OS를 사용하는 모든 패치되지 않은 안드로이드 장치들은 이 CVE-2015-1805에 취약하다.

Detailed News List

  • AndroRAT
    • [SecurityAffairs]
      A new variant of the dreaded AndroRAT malware appeared in threat landscape
    • [HackRead]
      Millions of Android Phones Hacked to Mine Monero Coins
    • [SecurityWeek]
      New AndroRAT Variant Emerges
    • [HelpNetSecurity]
      Millions of Android devices forced to mine Monero for crooks
    • [TripWire]
      AndroRAT Exploiting Vulnerability to Escalate Privileges on Android Devices
    • [TrendMicro]
      New AndroRAT Exploits Dated Permanent Rooting Vulnerability, Allows Privilege Escalation

 

Exploits/Vulnerabilities

Summaries

  • 텔레그램(Telegram)에서 새로운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텔레그램의 윈도우즈 데스크탑용 클라인트에서 취약점이 발견되었고, 해커들이 이를 공격에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KasperskyLab의 Alexey Firsh가 발견한 이 취약점은, 이미 해커들에 의해 모네로(Monero) 및 ZCash 암호화폐 채굴기 유포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가에 따르면 해커들이 이 취약점을 최소한 작년 3월부터 공격에 사용해온 것으로 보인다. 공격자들은 이 취약점으로 피해자를 속여 채굴기를 다운로드 하게 하거나, 백도어를 심는데 사용했다. 이 취약점은 텔레그램 윈도우즈 클라이언트가 RLO(Right-to-left Override) 유니코드 문자(U+202E)를 취급하는 방식과 관련되어있다. 공격자들은 이 RLO 유니코드 문자를 파일명에 포함시켜, 이 파일을 공격 대상에게 보낸다. RLO 문자가 포함된 gnp.js과 같은 이름의 파일을 보내면, 윈도우즈 클라이언트에서는 sj.png로 파일명이 표시되는 것을 이용해 무해한 png 파일인 것 처럼 속여, 공격대상이 의심없이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Detailed News List

  • Telegram Zeroday
    • [SecurityAffairs]
      Hackers in the Russian underground exploited a Telegram Zero-Day vulnerability to deliver malware
    • [TheRegister]
      Shock horror! Telegram messaging app proves insecure yet again!
    • [ThreatPost]
      Venerable Unicode Technique Used to Deliver Cryptomining Malware Through Telegram
    • [CyberScoop]
      Telegram zero day used to spread cryptomining malware
    • [CSOOnline]
      Hackers exploit zero-day flaw in Telegram to mine cryptocurrency
    • [KasperskyLab]
      Evil pics in Telegram
    • [ZDNet]
      Telegram zero-day let hackers spread backdoor and cryptocurrency-mining malware
    • [SecurityWeek]
      Zero-Day in Telegram’s Windows Client Exploited for Months
    • [CSOOnline]
      Zero-day flaw in Telegram used to secretly mine cryptocurrencies
    • [TheHackerNews]
      Hackers Exploit ‘Telegram Messenger’ Zero-Day Flaw to Spread Malware
    • [Securelist]
      Zero-day vulnerability in Telegram

 

Vulnerability Patches/Software Updates

Summaries

  • 마이크로소프트의 정기 업데이트가 릴리즈 되었다. 이번 패치에서는 아웃룩의 버그 두가지와 오피스, 브라우저의 취약점들이 수정되었다. 이번 패치에서는 윈도우즈, 오피스, 익스플로러, 엣지(Edge), 자바스크립트 엔진(ChakraCore)의 취약점이 수정되었다.
  •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직 Windows 10으로 전환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위해 구버젼의 윈도우즈들에서도 Windows Defender ATP(Advanced Threat Protection)를 백포트(backport)해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멜트다운/스펙터 점검을 위한 무료 툴을 공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번에 공개한 Windows Analytics Service에서는, 윈도우즈에 내장되어있는 원격 측정 서비스(telemetry service)를 사용하여 기관에 등록되어있는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집계된 보호상태 정보를 대시보드를 통해 알려준다. 이 Windows Analytics 기능은 Pro, Enterprise, Education editions에서 사용가능하다.
  • 어도비에서 아크로뱃 및 리더, Experience manager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릴리즈했다.

Detailed News List

  • Microsoft Patch Tuesday
    • [SpiderLabs]
      Microsoft Patch Tuesday, February 2018
    • [ThreatPost]
      Two Nasty Outlook Bugs Fixed in Microsoft’s Feb. Patch Tuesday Update
    • [Talos]
      Microsoft Patch Tuesday – February 2018
    • [DarkReading]
      Microsoft Fixes Two Security Flaws in Outlook
    • [KrebsOnSecurity]
      Microsoft Patch Tuesday, February 2018 Edition
    • [Cisco]
      Microsoft Patch Tuesday – February 2018
    • [SecurityWeek]
      Microsoft Patches 50 Flaws in Windows, Office, Browsers
    • [US-CERT]
      Microsoft Releases February 2018 Security Updates
  • Microsoft Windows Defender ATP
    • [HelpNetSecurity]
      Microsoft to provide Windows Defender ATP for older OS versions
    • [SecurityWeek]
      Microsoft Brings Windows Defender ATP to Windows 7, 8.1
  • Microsoft Free Meltdown/Spectre assessment tool
    • [ZDNet]
      Microsoft delivers free Meltdown-Spectre assessment tool for IT pros
  • Adobe
    • [US-CERT]
      Adobe Releases Security Updates
    • [SecurityWeek]
      Adobe Patches 39 Vulnerabilities in Acrobat and Reader

 

Posted in Security, Security NewsTagged AndroRAT, Cyber Espionage, Lazarus, Malware, Patches, VulnerabilityLeave a comment

Security Newsletters, 2018 Feb 13th, Lazarus, 코인 및 금융기관 공격 外

Posted on 2018-02-13 by admin

Caution

This post is a meta-newsletters that contains links and texts that have been collected approximately for a day from various sources. The titles of news were not provided from original sources, but translated by the writer of this post. So, there could be mis-translation or duplication. I respect the copyright of every articles and their policies. so I am trying to keep it. (of course, and mainly, it’s too much to translate by myself). Accordingly, this post doesn’t have quotation nor the body of article, if any, contact me and it will be removed.

  • 아래 뉴스 기사 링크들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약 1일간 수집된 IT보안 관련 뉴스입니다.
  • 뉴스 기사의 분류는 정리 과정에서 임의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한글 제목역시 원 게시자가 아닌 정보 취합 및 분류 과정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 번역된 한글 제목에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여러 매체에서 동일 사건을 다루면서 중복된 내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분량 및 저작권 관계로 본문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본문 전체를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 보다 정확한 내용은 상세 뉴스목록에 포함된 원본기사 링크를 참고하시고, 최소 둘 이상의 기사를 교차확인 하세요.

 

 

Newsletters

Cyber Espionage/Cyber Operations/Cyber Threats/Threat Actors

Summaries

  • 라자러스 해킹그룹이 비트코인을 훔치기 위한 공격적인 피싱 캠페인을 시작했다. 맥아피(McAfee)의 Advanced Threat Research(ATR) 분석가들이 탐지한 바에 따르면, HaoBao라 명명된 이 캠페인은 라자러스 그룹이 이전에 미 방위산업체(US defense contractors) 직원들이나 에너지 및 암호화폐 교환소를 포함한 금융분야의 직원들을 노린 피싱 이메일 캠페인을 다시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목표가 공격대상 환경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고 주요 군사 프로그램 정보를 얻거나 돈을 훔치기 위한 것이었다면, 이번 공격의 피싱 이메일에서는 비트코인 사용자들과 국제 금융 기관들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다.

Detailed News list

  • Lazarus
    • [InfoSecurityMagazine]
      Lazarus Rises Again with Aggressive Bitcoin-Stealing Campaign
    • [McAfee]
      Lazarus Resurfaces, Targets Global Banks and Bitcoin Users

 

Malwares

Summaries

  • Cryakl 랜섬웨어로 인해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할 수 있는 복호화 도구가 무료로 공개되었다. No More Ransom initiative가 복호화 키를 무료로 공개함에 따라, Cryakl 랜섬웨어로 인해 파일이 암호화된 피해자들은 몸값을 지불하지 않고도 파일을 복구할 수 있다. Cryakl 랜섬웨어는 2015년 9월부터 활동해 왔으며, 다른 랜섬웨어들과 마찬가지로 감염시킨 시스템의 파일들을 암호화하고 파일 복구를 위해 몸값을 지불 할 것을 요구한다. (10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Cryakl Ransomware
    • [SecurityAffairs]
      Victims of some versions of the Cryakl ransomware can decrypt their files for free
    • [SecurityWeek]
      NoMoreRansom: Free Decryption for Latest Cryakl Ransomware
    • [TheRegister]
      Cryakl ransomware antidote released after servers seized

 

Vulnerability Patches/Software Updates

Summaries

  • Linux KDE 환경이 USB 스틱으로 해킹당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되어 수정되었다. 최근 수정된 리눅스 KDE 데스크탑 환경의 이 취약점은, 볼륨이름이 $()인 VFAT이 존재하는 USB를 사용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CVE-2018-6791 번호가 부여된 이 취약점은 목요일에 업데이트와 함께 수정되었다.
  • IBM이 Power Systems 서버의 Spectre, Meltdown에 대한 패치를 릴리즈했다. IBM에서 POWER 프로세서에 대한 펌웨어 패치를 릴리즈하기 시작한 것은 해당 공격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고 약 일주일 후 부터였다. IBM은 지난주에 AIX, IBM i OS에 대한 업데이트와 함께 POWER 프로세서에 대한 패치를 공개했다. 현재 POWER7, POWER7+, POWER8, POWER9 프로세서에 대한 펌웨어 패치가 제공되고 있다.

Detailed News List

  • Linux KDE
    • [TheRegister]
      Until last week, you could pwn KDE Linux desktop with a USB stick
    • [GrahamCluley]
      Uh-oh. How just inserting a USB drive can pwn a Linux box
  • Meltdown/Spectre
    • [SecurityWeek]
      IBM Releases Spectre, Meltdown Patches for Power Systems
    • [ZDNet]
      Linux Meltdown patch: ‘Up to 800 percent CPU overhead’, Netflix tests show
    • [InfoSecurityMagazine]
      IBM Patches Spectre and Meltdown for Power Servers

 

Service Outage/Malfunction

Summaries

  •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직전 웹사이트가 사이버 공격으로 다운되어 12시간동안 다운되었다. 시스템 중단으로 인해 티켓을 프린트하거나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 불가능 했으며, 경기장 주변의 일부 네트워크도 다운되었다. (12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Winter Olympic
    • [DarkReading]
      Cyberattack Aimed to Disrupt Opening of Winter Olympics
    • [ThreatPost]
      ‘Olympic Destroyer’ Malware Behind Winter Olympics Cyberattack, Researchers Say
    • [NYTimes]
      Cyberattack Caused Olympic Opening Ceremony Disruption
    • [BankInfoSecurity]
      Hackers Win Olympic Gold Medal for Disruption
    • [CSOOnline]
      Winter Olympics hit with cyber attack during opening ceremony
    • [CSOOnline]
      Officials say Winter Olympics were hit with cyberattack during opening ceremony
    • [Talos]
      Olympic Destroyer Takes Aim At Winter Olympics
    • [InfoSecurityMagazine]
      Winter Olympics Site Taken Out for 12 Hours
    • [EHackingNews]
      Hackers hacked servers of Olympic organizers during opening ceremony
    • [GrahamCluley]
      Government websites hijacked by cryptomining plugin

 

Crypto Currencies/Crypto Mining

Summaries

  • 유명 브라우저 플러그인의 해킹으로 인해 수천개의 웹사이트가 하이재킹 당했다. 전세계 수천 개의 웹사이트가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 Browsealoud가 해킹당하면서 암호화폐 채굴을 위해 하이재킹 당했다. 공격자들은 피해자들의 브라우저에서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Coinhive 스크립트를 유포했다. 이 공격에 이용된 도메인들은 약 4천여개로, 영국의 NHS, ICO(Information Commissioner’s Office), US government’s court system등 다양한 사이트들이 이용되었다. (12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Website hijacking
    • [DarkReading]
      Attackers Use Infected Plug-In to Install Cryptomining Tool on Over 4200 Websites
    • [DarkReadking]
      Attackers Use Infected Plug-In to Install Cryptomining Tool on Over 4200 Sites
    • [TheHackerNews]
      Thousands of Government Websites Hacked to Mine Cryptocurrencies
    • [ThreatPost]
      U.K. and U.S. Government Websites Among Thousands Infected by Cryptocurrency Miner
    • [SecurityWeek]
      Crypto Mining Malware Infects Thousands of Websites
    • [WeLiveSecurity]
      US and UK government websites hijacked to mine cryptocurrency on visitors’ machines
    • [CyberScoop]
      Government websites, including uscourts.gov, pulled into cryptomining scheme
    • [TripWire]
      4K+ Websites Infected with Crypto-Miner after Tech Provider Hacked
    • [HelpNetSecurity]
      Thousands of government, orgs’ websites found serving crypto mining script
    • [InfoSecurityMagazine]
      Crypto-Mining Malware Found on 4000+ Sites
    • [ZDNet]
      UK government websites, ICO hijacked by cryptocurrency mining malware
    • [BankInfoSecurity]
      Government Websites Deliver Cryptocurrency Mining Code
    • [NakedSecurity]
      Cryptomining script poisons government websites – What to do

 

Posted in Security, Security NewsTagged Cryakl Ransomware, Crypto Currency, Cryptocurrency Mining, CVE-2018-6791, Cyber Espionage, Exploit, HaoBao Campaign, Lazarus, Malware, Outage, Patches, VulnerabilityLeave a comment

Security Newsletters, 2018 Jan 26th, Pwn2Own 상금 200만 달러 예정 外

Posted on 2018-01-26 by admin

Caution

This post is a meta-newsletters that contains links and texts that have been collected approximately for a day from various sources. The titles of news were not provided from original sources, but translated by the writer of this post. So, there could be mis-translation or duplication. I respect the copyright of every articles and their policies. so I am trying to keep it. (of course, and mainly, it’s too much to translate by myself). Accordingly, this post doesn’t have quotation nor the body of article, if any, contact me and it will be removed.

  • 아래 뉴스 기사 링크들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약 1일간 수집된 IT보안 관련 뉴스입니다.
  • 뉴스 기사의 분류는 정리 과정에서 임의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한글 제목역시 원 게시자가 아닌 정보 취합 및 분류 과정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 번역된 한글 제목에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여러 매체에서 동일 사건을 다루면서 중복된 내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분량 및 저작권 관계로 본문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본문 전체를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 보다 정확한 내용은 상세 뉴스목록에 포함된 원본기사 링크를 참고하시고, 최소 둘 이상의 기사를 교차확인 하세요.

 

 

Newsletters

Cyber Espionage/Cyber Operations/Cyber Threats/Threat Actors

Summaries

  • 세계 최대의 해운기업인 Maersk가 NotPetya 악성코드 감염으로 2017년에 심각한 피해를 본 것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이번주 세계 경제 포럼에서 Maersk의 Jim Hagemann Snabe은 랜섬웨어 피해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4,000대의 서버, 45,000대의 새로운 PC, 2,500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재설치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열흘간의 엄청난 노력끝에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트렌드마이크로(TrendMicro)에서 라자러스(Lazarus) 그룹과 이 그룹이 공격에 사용하는 여러 도구중 하나인 RATANKBA라는 악성코드, 그리고 서버들에 대한 분석 기사를 공개했다. (25일에서 이어짐)
  • Dridex 뱅킹 트로이의 새로운 변종이 FTP 서버를 이용해 확산중이다. 공격자는 침해당한 FTP사이트를 사용해 악성문서를 호스팅한다. 이번에 탐지된 피싱 캠페인은 이번주 초 발생해 약 7시간정도 지속되었다. 이 공격의 주 공격 목표는 프랑스, 영국, 호주 사용자들이었다. 이 피싱 캠페인에 사용된 이메일은 악성 파일을 호스팅하는 FTP 서버로의 링크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FTP 링크들은 DOC나 XLS 파일을 다운로드하게 되어있고, 악성 DOC 파일이 열리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DDE(Dynamic Data Exchange) 기능을 사용해 Dridex payload를 다운로드 받게 된다. XLS 파일은 Dridex를 다운로드하는 매크로가 포함되어 있다. (20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Maersk
    • [TheRegister]
      IT ‘heroes’ saved Maersk from NotPetya with ten-day reinstallation bliz
    • [SecurityAffairs]
      Maersk chair revealed its company reinstalled 45,000 PCs and 4,000 Servers after NotPetya Attack
  • Lazarus
    • [SecurityAffairs]
      A look into the cyber arsenal used by Lazarus APT hackers in recent attacks against financial institutions
    • [SecurityWeek]
      North Korea-linked Lazarus Hackers Update Arsenal of Hacking Tools
  • Dridex
    • [InformationSecurityBuzz]
      Dridex Banking Trojan Phishing Campaign Ties To Necurs

 

Malwares

Summaries

  • CrossRAT이 윈도우즈, 맥OS, 리눅스 시스템을 노리고 있다. 전세계적인 해킹 캠페인을 Dark Caracal이라는 해킹 그룹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해 벌이고 있다는 기사는 이미 공개된 바 있으나, 이번에는 CrossRAT이라는 윈도우즈, 맥OS, 리눅스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에 대한 기사다. CrossRAT은 다중 플랫폼 트로이로, 유명한 네개의 운영체제(윈도우즈, 맥OS, 솔라리스, 리눅스)를 공격 대상으로 삼는다. 원격의 공격자가 파일 시스템을 조작하거나, 스크린샷을 찍고 임의의 파일을 실행하고, 감염된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 P2P통신을 사용하는 IoT 봇넷이 급격히 확산중이다. 보안 기업 비트디펜더(BitDefender)에 의해 Hide’N Seek(HNS)라 명명된 이 봇넷은 처음 1월 초에 탐지되었으며, 1월 20일 다시 탐지되어 급격히 확산중이다. 이 봇넷은 장치들간에 분산된 Peer-to-Peer 방식으로 통신 한다. 이 봇넷은 리퍼(Reaper)봇넷과 동일한 익스플로잇을 사용해 장치를 감염시킨다. 그러나 아직 이 두 봇넷이 연관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25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CrossRAT
    • [TheHackerNews]
      Beware! Undetectable CrossRAT malware targets Windows, MacOS, and Linux systems
  • Hide’N Seek
    • [InformationSecurityBuzz]
      Unusual ‘Hide ‘N Seek’ Botnet Found
    • [SecurityWeek]
      “Hide ‘N Seek” IoT Botnet Ensnares 20,000 Devices in Days
    • [SecurityAffairs]
      New HNS botnet has already compromised more than 20,000 IoT devices

 

Exploits/Vulnerabilities

Summaries

  • Moto G5 Plus에서 잠금화면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아마존에서는 아마존 앱을 미리 설치하고 잠금화면에 광고를 삽입한 기기를 사용자들이 낮은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이 기기들 중 하나인 Moto G5 Plus에서 이 광고와 관련된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이 취약점은 잠금화면을 인증과정없이 우회할 수 있도록 만든다. 트위터의 Jaraszski Colliefox라는 사용자는 이 취약점을 발견하고 해당 내용을 공개했는데, 지문 센서를 클릭한 후(지문 인식 실패 메시지 표시) 전원버튼을 누르고 잠금화면에 나타나는 광고를 클릭하면 인증없이 기기의 잠금을 해제 할 수 있다.
  • Meltdown/Spectre와 이에대한 패치, 그리고 패치에 의한 성능 문제에 대한 기사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Detailed News List

  • G5
    • [HackRead]
      Security flaw in Moto G5 Plus allows anyone to bypass lockscreen
  • Meltdown/Spectre
    • [TheRegister]
      Intel alerted computer makers to chip flaws on Nov 29 – new claim
    • [DarkReading]
      Hardware Security: Why Fixing Meltdown & Spectre Is So Tough
    • [SpiderLabs]
      Overview of Meltdown and Spectre
    • [DarkReading]
      Meltdown & Spectre: Computing’s ‘Unsafe at Any Speed’ Problem
    • [NakedSecurity]
      Apple offers another Meltdown fix for Mac users…
    • [SecurityWeek]
      Lawmakers Raise Questions About Disclosure of CPU Flaws
    • [ZDNet]
      Meltdown and Spectre response hampered by ‘exclusive club’ secrecy
    • [TheRegister]
      SHL just got real-mode: US lawmakers demand answers on Meltdown, Spectre handling from Intel, Microsoft and pals
    • [ZDNet]
      ​Linux and Intel slowly hack their way to a Spectre patch
    • [ZDNet]
      Meltdown-Spectre: Why were flaws kept secret from industry, demand lawmakers

 

Vulnerability Patches/Software Updates

Summaries

  • ASUS에서 여러종의 라우터의 취약점을 패치했다.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루트 권한으로 임의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펌웨어 취약점들이다. 이번에 패치된 라우터 모델은 RT-AC88U, RT-AC3100, RT-AC86U, RT-AC68U, RT-AC66U다. 이 취약점은 AsusWRT 펌웨어 3.0.0.4.384_10007 이전 버전에 존재한다.
  • Libcurl에서 아주 오래된 취약점이 패치되었다. 최근버젼의 libcurl 릴리즈인 7.58.0에서는 두개의 취약점을 포함해 82개의 버그가 수정되었다. 두개의 취약점은 정보 노출(information disclosure) 취약점과 서비스거부(DoS, denial-of-service) 취약점이다.
  • 크롬 64 업데이트가 릴리즈되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53개의 보안 취약점이 수정되었고, 스펙터 CPU 취약점에 대한 대응도 추가되었다.

Detailed News List

  • Asus
    • [ThreatPost]
      ASUS Patches Root Command Execution Flaws Haunting Over a Dozen Router Models
  •  Libcurl
    • [SecurityWeek]
      Information Disclosure, DoS Flaws Patched in libcurl
    • [SecurityAffairs]
      libcurl has had authentication leak bug dated back to before September 1999
    • [TheRegister]
      libcurl has had auth leak bug since ‘the first commit we recorded’
  • Chrome 64
    • [SecurityWeek]
      Chrome 64 Brings Additional Mitigations for CPU Flaw
    • [ThreatPost]
      Firefox, Chrome Patch Vulnerabilities, Add Security Features
    • [ZDNet]
      Google: Chrome 64 is out now, giving you tougher pop-up blocker, Spectre fixes

 

Privacy

Summaries

  • 성적인 사진 및 동영상을 노리고 1,000개가 넘는 대학생 나이의 여성들의 이메일 계정을 해킹한 Jonathan C. Powell이 6개월의 징역형에 처해졌다. 2016년 11월에 체포된 Powell은 지난 8월 뉴욕주 법원에서 유죄를 인정했다.

Detailed News List

  • Perv
    • [TheRegister]
      Perv raided college girls’ online accounts for nude snaps – by cracking their security questions

 

Industrial/Infrastructure/Physical System/HVAC/SCADA/HMI/ICS

Summaries

  • 산업제어시스템(ICS, Industrial control systems) 환경에서의 PC나 서버에서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센스 관리 소프트웨어(license management software)에서 여러 심각한 취약점들이 발견되었다. 카스퍼스키랩의 ICS CERT 연구자들에 따르면, Hardware Against Software Piracy(HASP)라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에서 발견된 14개의 취약점은 라이센스 관리용 USB 토큰이 사이버 공격의 원격 접근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다. 발견된 취약점에는 다수의 서비스거부(DoS, Denial of service) 취약점과 여러 원격 코드 실행(Remote code execution) 취약점들이 포함된다. (23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USB Token
    • [InformationSecurityBuzz]
      USB Token Vulnerabilities Found

 

Deep Web/DarkNet/Onion/Underground Market

Summaries

  • 아기들의 사회보장번호(SSN)가 세금 사기를 위해 다크웹에서 판매되고 있다. Terbium Labs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기들의 사회보장번호(Social Security Numbers)와 다른 개인 식별 정보(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생일, 어머니의 처녀 이름 정보가 다크웹에서 거래되고 있다.

Detailed News List

  • SSN
    • [HackRead]
      Cybercriminals Selling Social Security Numbers of Infants on Dark Web
    • [NakedSecurity]
      Babies’ data being sold to tax fraudsters on the dark web

 

Service Outage/Malfunction

Summaries

  • 넷플릭스 및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속도가 느려지거나 접속이 불가능한 장애가 있었다.

Detailed News List

  • Netflix, Facebook, Instagram
    • [HackRead]
      You are not alone Netflix is down for many and slow for some
    • [HackRead]
      You are not alone Facebook and Instagram are down for many

 

Crypto Currencies/Crypto Mining

Summaries

  • 비트코인 거래소에 실제로 강도가 들었다. 권총으로 무장한 세명의 남성이 캐나다 오타와(Ottawa)의 비트코인 거래소에 침입했다. 이 거래소의 직원 네명은 이들에게 제압당했으며 돈을 인출하라고 협박을 받았다. 사무실에서 보이지 않는곳에 있던 다섯번째 직원이 경찰에 신고해 용의자 중 한명이 수요일에 체포되었다.
  • 해커들이 암호화폐 ICO로부터 4억달러 가량을 훔쳤다는 리포트가 나왔다. Ernst & Young의 새로운 보고서에서, 모든 펀드의 약 10% 이상이 도난 당하거나 분실되었다. 이는 2015년에서 2017년 사이의 37억 달러 펀딩 중 거의 400만 달러에 해당하는 규모다. (25일에서 이어짐)
  • SpriteCoin이라는 가짜 암호화폐 사기에서 MoneroPay 랜섬웨어를 유포한 것이 확인되었다. Fortinet의 연구자들이 새로운 랜섬웨어 사기를 탐지했다. 이 사기에서 해커들은 새로운 암호화폐 ‘스프라이트코인(SpriteCoin)‘을 소개하며 피해자들에게 지갑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비밀번호를 생성하라고 속였다. 이 지갑 설치파일은 윈도우즈 기반의 컴퓨터를 감염시키는 악성코드 였으며, 시스템의 파일들을 암호화 시키고 잠긴 파일들의 암호를 푸는것에 대해 몸값을 오구한다. (24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Robbery
    • [TheHackerNews]
      Yikes! Three armed men tried to rob a Bitcoin Exchange in Canada
  • ICO
    • [InformationSecurityBuzz]
      Hackers Steal $400M From Cryptocurrency ICOs
    • [InfoSecurityMagazine]
      Crypto ICOs Lose 10% of Funds to Hackers
  • SpriteCoin
    • [SecurityAffairs]
      Spritecoin ransomware masquerades as cryptocurrency wallet and also harvests victim’s data
    • [HackRead]
      MoneroPay Malware Pretends to Be a Cryptocurrency Wallet
    • [TripWire]
      15 Million People Worldwide Affected by a Single Monero Mining Operation
    • [SecurityWeek]
      30 Million Possibly Impacted in Crypto-Currency Mining Operation

 

Technologies/Technical Documents/Statistics/Reports

Summaries

  • 구글 알파벳(Alphabet)에서 사이버보안 기업 크로니클(Chronicle)을 만들었다. 수요일에 알파벳이 크로니클을 발표했다. 크로니클은 2016년에 알파벳의 문샷(moonshot) 팩토리의 프로젝트로서 시작되었다. (25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Chronicle
    • [InformationSecurityBuzz]
      Google Launch New Threat Analysis Platform, Chronicle
    • [HelpNetSecurity]
      Alphabet enters enterprise cybersecurity market, launches Chronicle
    • [TheRegister]
      S for Security is Google owner Alphabet’s new favorite letter

 

ETC

Summaries

  • 마스터카드에서 카드 지불을 위한 생체인식(biometrics)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2019년 4월을 목표로 두고 있다. 마스터카드는, 매장에서 고객들이 마스터카드로 지불할 때 지문이나 안면인식 등을 통해 자신을 인증할 수 있을것이라 밝혔다.
  • 올해의 Pwn2Own행사에서는 200만 달러까지 보상금이 주어질 예정이다. 이번 3월에 캐나다의 밴쿠버에서 열리는 CanSecWest 컨퍼런스의 Pwn2Own 챌린지에서는 해킹 대회에서 최고금액인 200만 달러까지 보상이 지불된다. 그리고 처음으로 VMWare와 Microsoft가 파트너로 참여하며, 이번 Pwn2Own 컨테스트에서는 최초로 윈도우즈 제품들의 시험판 버젼을 크랙해볼 수 있는 Windows Insider Preview challenge가 열린다.

Detailed News List

  • Mastercard
    • [InfoSecurityMagazine]
      Mastercard to Implement Biometrics for In-Store Card Payments
  •  Pwn2Own
    • [DarkReading]
      This Year’s Pwn2Own Hackfest Will Offer Up to $2 Million in Rewards
    • [SecurityWeek]
      New Targets, $2 Million in Prizes Announced for Pwn2Own 2018

 

Posted in Security, Security NewsTagged CrossRAT, Crypto Currency, Cyber Espionage, Dridex, HideNSeek, ICS, Industrial Control System, Lazarus, Malware, Outage, Patches, Privacy, Pwn2Own, SpriteCoin, VulnerabilityLeave a comment

Security Newsletters, 2018 Jan 25th, Alphabet 보안 기업 Chronicle 런칭 外

Posted on 2018-01-25 by admin

Caution

This post is a meta-newsletters that contains links and texts that have been collected approximately for a day from various sources. The titles of news were not provided from original sources, but translated by the writer of this post. So, there could be mis-translation or duplication. I respect the copyright of every articles and their policies. so I am trying to keep it. (of course, and mainly, it’s too much to translate by myself). Accordingly, this post doesn’t have quotation nor the body of article, if any, contact me and it will be removed.

  • 아래 뉴스 기사 링크들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약 1일간 수집된 IT보안 관련 뉴스입니다.
  • 뉴스 기사의 분류는 정리 과정에서 임의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한글 제목역시 원 게시자가 아닌 정보 취합 및 분류 과정에서 작성된 것입니다.
  • 번역된 한글 제목에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여러 매체에서 동일 사건을 다루면서 중복된 내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분량 및 저작권 관계로 본문을 그대로 포함하거나, 본문 전체를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 보다 정확한 내용은 상세 뉴스목록에 포함된 원본기사 링크를 참고하시고, 최소 둘 이상의 기사를 교차확인 하세요.

 

 

Newsletters

Cyber Espionage/Cyber Operations/Cyber Threats/Threat Actors

Summaries

  • 트렌드마이크로(TrendMicro)에서 라자러스(Lazarus) 그룹과 이 그룹이 공격에 사용하는 여러 도구중 하나인 RATANKBA라는 악성코드, 그리고 서버들에 대한 분석 기사를 공개했다.
  • 모네로(Monero)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한 대규모의 움직임이 4개월 이상 지속되어 온 것을 팔로알토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의 Unit 42에서 탐지했다. 이 작전은 오픈소스 XMRig 유틸리티를 사용해 모네로를 채굴한다. Unit42에서 예측한 바에 따르면, 이 작전에 영향을 받은 사람은 전 세계 약 150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Detailed News list

  • Lazarus
    • [TrendMicro]
      Lazarus Campaign Targeting Cryptocurrencies Reveals Remote Controller Tool, an Evolved RATANKBA, and More
  • Monero Mining Operation
    • [Unit42]
      Large Scale Monero Cryptocurrency Mining Operation using XMRig

 

Malwares

Summaries

  • 클라우드플레어 도메인(cloudflare.solutions)을 사용했던 키로거가 새로운 도메인으로 돌아왔다.  Sucuri에서 cloudflare.solutions에 대한 정보를 공개한 뒤, 해당 도메인은 정지되었다. 공격자는 즉시 새로운 도메인들을 등록했다. cdjs.oneline, cdns.ws, msdns.online 등이다.
  • 미라이 마수타(Mirai Masuta)봇넷에 대한 기사가 이어지고 있다. Mirai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IoT 봇넷인 Masuta는 최소 두 개의 변종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NewSky Security에서 밝혔다. Masuta의 소스코드가 비공개 다크웹의 포럼에서 발견되었고, 연구자들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악성코드의 설정 파일은 미라이와 비교했을때 다른 암호화 키를 사용한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nexusiotsolutions.net이라는 도메인을 C7C 서버로 사용하는데, 이 도메인은 Nexus Zeta라는 최근의 Satori 공격과 관련된 개인이 사용하는 도메인이다. 이 도메인은 nexuszeta1337@gmail.com 이메일을 사용해 등록되었다. 그래서 NewSky Security는 Nexus Zeta가 Satori에 이어, Masuta 봇넷의 제작에 관련된 것으로 추정한다.
  • P2P통신을 사용하는 IoT 봇넷이 급격히 확산중이다. 보안 기업 비트디펜더(BitDefender)에 의해 Hide’N Seek(HNS)라 명명된 이 봇넷은 처음 1월 초에 탐지되었으며, 1월 20일 다시 탐지되어 급격히 확산중이다. 이 봇넷은 장치들간에 분산된 Peer-to-Peer 방식으로 통신 한다. 이 봇넷은 리퍼(Reaper)봇넷과 동일한 익스플로잇을 사용해 장치를 감염시킨다. 그러나 아직 이 두 봇넷이 연관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Detailed News List

  • Keylogger
    • [Sucuri]
      Cloudflare[.]solutions Keylogger Returns on New Domains
  • Mirai Masuta
    • [SecurityWeek]
      Mirai-Based Masuta Botnet Weaponizes Old Router Vulnerability
    • [SecurityAffairs]
      Satori’s threat actors are behind the new Masuta botnet that is targeting routers in the wild
    • [TheRegister]
      Fresh botnet recruiting routers with weak credentials
  • P2P IoT Botnet
    • [ZDNet]
      This unusual new IoT botnet is spreading rapidly via peer-to-peer communication

 

Exploits/Vulnerabilities

Summaries

  • 일렉트론(Electron) 프레임워크에서 심각한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일렉트론은 Skype나 Slack과 같은 유명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데 사용된 프레임워크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심각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이 발견되었다. 이 앱들은 윈도우즈에서 실행되고, myapp://과 같은 프로토콜에 대한 기본 핸들러로 앱 자신을 등록했을 때 취약하다. 이 취약점은 CVE-2018-1000006 번호가 부여되었다. (24일에서 이어짐)
  • Meltdown/Spectre와 이에대한 패치, 그리고 패치에 의한 성능 문제에 대한 기사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Detailed News List

  • Electron framework
    • [ThreatPost]
      Skype, Slack and Other Popular Windows Apps Vulnerable to Critical Framework Bug
    • [SecurityAffairs]
      Critical code execution flaw in Electron framework impacts popular Desktop apps such as Skype and Signal
    • [ThreatPost]
      Skype, Slack and Other Popular Windows Apps Vulnerable to Critical Framework Bug
    • [SecurityWeek]
      Code Execution Flaw Impacts Popular Desktop Apps
    • [ZDNet]
      Electron critical vulnerability strikes app developers
    • [TheHackerNews]
      Critical Flaw Hits Popular Windows Apps Built With Electron JS Framework
    • [TheRegister]
      Skype, Slack, other apps inherit Electron vuln
  • Meltdown/Spectre
    • [CyberScoop]
      Congress wants answers on embargo of Spectre and Meltdown information
    • [InformationSecurityBuzz]
      Intel Halt Of Spectre And Meltdown Patches
    • [BankInfoSecurity]
      Expect More Cybersecurity ‘Meltdowns’
    • [ZDNet]
      ​Spectre flaw: Dell and HP pull Intel’s buggy patch, new BIOS updates coming
    • [SecurityWeek]
      Apple Patches Meltdown Flaw in Older Versions of macOS

 

Vulnerability Patches/Software Updates

Summaries

  •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에서 사이트 구독자 목록을 유출시키는 취약점이 패치되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인 Email Subscribers & Newsletters에서 Dominykas Gelucevicius가 취약점을 찾아냈다. Gelucevicius의 설명에 따르면, 이 취약점은 3.4.8 이전 버젼의 플러그인은 모두 취약하다.
  • 파이어폭스 58 업데이트가 릴리즈되었다.

Detailed News List

  • WordPress Plugin
    • [TripWire]
      WordPress Plugin Fixes Bug Allowing Download of 100K+ Sites’ Subscriber Lists
  • Mozilla Firefox 58
    • [ZDNet]
      ​Firefox 58 arrives with tracker blocking to make browsing faster, and fixes for dozens of security flaws

 

Privacy

Summaries

  • 윈도우즈 10에서 원격 측정 데이터(telemetry data)를 위한 새로운 개인정보 보호 도구가 나온다. 2018년 4월 업데이트를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즈 10 사용자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원격측정 서버로 보내지는 수집된 진단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는 도구를 출시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즈 10의 다음번 릴리즈에서 윈도우즈 진단 데이터 뷰어 도구(Windows Diagnostic Data Viewer utility)를 포함한다고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Detailed News List

  • Windows 10
    • [ZDNet]
      Windows 10: Microsoft rolls out new privacy tools for telemetry data

 

Data Breaches/Info Leakages

Summaries

  • 벨(Bell) 캐나다가 데이터 침해 사고를 당했다. 이미 정보유출 사고를 겪은 바 있는 벨 캐나다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또 해킹당했다. 벨 캐나다는 2017년 5월 190만명의 고객정보가 도난당한바 있다.

Detailed News List

  • Bell Canada
    • [TheRegister]
      Bell Canada Canucks it up again: Second hack in just eight months
    • [DarkReading]
      Bell Canada Hit with 2nd Breach in 8 Months
    • [InformationSecurityBuzz]
      Bell Canada Cyber Breach
    • [InfoSecurityMagazine]
      Bell Canada Suffers Customer Data Breach
    • [SecurityAffairs]
      Bell Canada suffers a data breach for the second time in less than a year
    • [SecurityWeek]
      Bell Canada Hit by Data Breach

 

Industrial/Infrastructure/Physical System/HVAC/SCADA/HMI/ICS

Summaries

  • 산업제어시스템(ICS, Industrial control systems) 환경에서의 PC나 서버에서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라이센스 관리 소프트웨어(license management software)에서 여러 심각한 취약점들이 발견되었다. 카스퍼스키랩의 ICS CERT 연구자들에 따르면, Hardware Against Software Piracy(HASP)라는 라이센스 관리 시스템에서 발견된 14개의 취약점은 라이센스 관리용 USB 토큰이 사이버 공격의 원격 접근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다. 발견된 취약점에는 다수의 서비스거부(DoS, Denial of service) 취약점과 여러 원격 코드 실행(Remote code execution) 취약점들이 포함된다. (23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USB Token
    • [InformationSecurityBuzz]
      Vulnerabilities Found In USB Tokens Used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Crypto Currencies/Crypto Mining

Summaries

  • 가짜 암호화폐 사기에서 랜섬웨어를 유포한 것이 확인되었다. Fortinet의 연구자들이 새로운 랜섬웨어 사기를 탐지했다. 이 사기에서 해커들은 새로운 암호화폐 ‘스프라이트코인(SpriteCoin)‘을 소개하며 피해자들에게 지갑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비밀번호를 생성하라고 속였다. 이 지갑 설치파일은 윈도우즈 기반의 컴퓨터를 감염시키는 악성코드 였으며, 시스템의 파일들을 암호화 시키고 잠긴 파일들의 암호를 푸는것에 대해 몸값을 오구한다. (24일에서 이어짐)

Detailed News List

  • SpriteCoin fraud
    • [CSOOnline]
      Hackers lure victims with fake cryptocurrency SpriteCoin
    • [CSOOnline]
      Fake SpriteCoin cryptocurrency installs ransomware and more malware if ransom is paid

 

Technologies/Technical Documents/Statistics/Reports

Summaries

  • 구글 알파벳(Alphabet)에서 사이버보안 기업 크로니클(Chronicle)을 만들었다. 수요일에 알파벳이 크로니클을 발표했다. 크로니클은 2016년에 알파벳의 문샷(moonshot) 팩토리의 프로젝트로서 시작되었다.

Detailed News List

  • Google Chronicle
    • [KrebsOnSecurity]
      Chronicle: A Meteor Aimed At Planet Threat Intel?
    • [SecurityWeek]
      Google Parent Alphabet Launches Cybersecurity Firm Chronicle
    • [DarkReading]
      Meet Chronicle: Alphabet’s New Cybersecurity Business
    • [CyberScoop]
      Alphabet launches Chronicle, a new cybersecurity company
    • [ZDNet]
      Alphabet hatches cybersecurity company Chronicle using Google technology

 

Posted in Security, Security NewsTagged Crypto Currency, Cyber Espionage, Data Breach, HideNSeek, Industrial Control System, Information Leakage, Keylogger, Lazarus, Malware, Masuta, Mirai, Patches, Privacy, RATANKBA, SpriteCoin, VulnerabilityLeave a comment

글 내비게이션

이전 글

Search

Recent Posts

  • Exploit PoC for CVE-2023-20887 VMWare Aria Operations for Networks
  • Security Newsletters, 2021 May 2nd, Scripps Health 랜섬웨어 공격 外
  • Security Newsletters, 2018 Apr 3rd, 미 국방부 버그 바운티 대상 확장 外
  • Security Newsletters, 2018 Mar 31st, Microsoft Meltdown 긴급 패치 外
  • Security Newsletters, 2018 Mar 30th, MyFitnessPal 1억 5천만 계정 침해 外
  • Security Newsletters, 2018 Mar 29th, Kaspersky KLara 오픈소스 공개 外
  • Security Newsletters, 2018 Mar 28th, SSH서버 노리는 GoScanSSH 外

Categories

  • Diet (7)
  • Exploit (1)
  • Flaw (2)
  • Hacking (1)
  • Health (11)
  • Intermittent Fasting (1)
  • Meditation (2)
  • Mentality (5)
  • Nootropic (3)
  • Security (157)
  • Security News (155)

Archives

  • 2023년 6월 (1)
  • 2021년 5월 (1)
  • 2018년 4월 (1)
  • 2018년 3월 (24)
  • 2018년 2월 (24)
  • 2018년 1월 (30)
  • 2017년 12월 (31)
  • 2017년 11월 (30)
  • 2017년 10월 (26)
  • 2017년 9월 (4)

Meta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Proudly powered by WordPress | Theme: micro, developed by DevriX.